2025. 8. 8.

블로그

IR 덱 써주는 AI 추천 & 활용법 - 내년 투자유치, 지금부터 준비해야 하는 이유

IR 덱 써주는 AI 추천 & 활용법 - 내년 투자유치, 지금부터 준비해야 하는 이유

이상연

이상연

IR덱 피치덱 투자제안서 스타트업 투자 유치


2025년 하반기, 스타트업 투자 시장이 여전히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탓에 많은 회사들이 투자 유치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반기에 미국을 시작으로 주요국의 금리 인하가 예상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금도 예년보다는 조금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투자 시장에 다시 조금씩 햇볕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죠.

2026년 투자 유치 준비를 지금부터 해야 합니다.

벤처캐피털(VC) 투자를 받으려면 실제 투자금 집행이 예상되는 시점보다 짧아도 3개월, 길게는 6개월~1년 전부터 콜드 메일을 보내고 라운드를 돌아야 하죠.


이 글에서는 투자 유치가 필요한 스타트업을 위해 피치덱, 투자제안서 작성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그리고 AI 도구를 활용해 IR 덱 작성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IR덱 피치덱 투자제안서 스타트업 투자 유치



하반기부터 내년 투자 유치를 준비해야 하는 이유

VC 검토 프로세스는 생각보다 오래 걸린다

많은 창업자들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피치덱만 있으면 다음 달에 투자받을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창업자들이 생각하는 VC 투자 프로세스

IR 덱 접수 → 1차 미팅 → IR 발표 → 2차 미팅 → 실사 → 최종 투자심사 → 투자금 납입

창업자들의 착각 : ‘투자받는 데 2~3개월이면 충분하지 않을까?’


실제 VC 투자 검토 프로세스

IR 덱 접수 → 1차 미팅 → 내부 검토 → 추가 자료 요청 → n회차 추가 미팅 및 실사 → 최종 투자심사 → 조건 협상 → 최종 투자 계약 → 투자금 납입

실제로 최초 미팅부터 투자금 납입까지 걸리는 시간 : 최소 2~3개월(특수한 경우), 평균 6개월~1년



8~9월에 콜드 메일 접수를 시작한다면, 이미 늦었을지도 모릅니다

VC들은 1년의 업무 사이클이 대체로 정해져 있으며, 그 주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 11~12월 : 내년에 투자를 시작할 펀드 결성을 위해 LP 모집에 박차

✔︎ 1~3월 : 작년에 만나두었던 후보 기업들에 대해 최종 투심 진행, 투자금 집행

✔︎ 4~6월 : 탑티어~1티어 후보 기업들에게 최종 투심, 투자금 집행 및 소진

✔︎ 7~9월 : 2~3티어 후보 기업들에게 투자 집행

✔︎ 10~11월 : 투자금을 모두 소진하지 못하고 남았을 경우 드라이파우더로 남겨둠. 만기 도래로 인하여 꼭 소진해야 하는 미집행금을 나머지 기업에 투자 소진


우리 회사의 목표는 ‘투자금 소진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투자하는 2~3티어 기업’이 되는 게 아니라, ‘꼭 투자하고 싶은 탑티어 기업’이 되는 것이죠.

이를 위해서는 상반기에 투자를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전년도부터 라운드를 돌아야 합니다.


따라서 아무리 늦어도 전년도 하반기부터는 콜드 메일과 웜콜을 돌리면서 VC들에게 우리 존재를 알리고, 내년까지의 성장 로드맵을 각인시켜두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연말과 연초에 얼마나 성장 목표를 이루었는지 보여주면서 경쟁사보다 일찍 2차 미팅과 최종 투심에 돌입해야 합니다.


피치덱 ir덱 사업계획서 인라인ai


IR덱 피치덱 투자제안서, 핵심은 무엇일까?

VC가 주목하는 IR 덱의 핵심 요소 : 시장 규모, BM, 팀

많은 기업이 IR덱(피치덱, 투자제안서) 제작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디자인 외주까지 맡깁니다.

그러나 VC들이 보는 핵심은 많지 않습니다. 심지어 디자인이 예쁘게 되어있는 IR 덱은 ‘믿고 거른다’는 심사역들도 있죠.

VC 심사역들이 가장 많이 보는 IR 덱의 핵심은 딱 3가지입니다.

시장 규모, BM의 타당성, 그리고 팀 구성입니다.

*15년차 벤처캐피털리스트의 조언과 검수를 거쳐 정리한 팁입니다.


1. 시장 규모 (성장 가능성)

시드 스테이지부터 시리즈 A~B 이하에 투자하는 초기 투자 VC들은 ‘시장 규모’를 굉장히 많이 봅니다.

애초에 작은 시장을 타겟하는 아이템인 경우 매출 성장에 한계가 뚜렷하고, 이 경우 VC 입장에서 멀티플(투자 수익성의 배수)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죠.

초기 창업 아이템일수록 처음에는 작고 뾰족한 니치 마켓을 타깃하기 마련인데, VC를 설득하려면 수천억~수조원 단위의 큰 시장으로 확장 가능하다는 얘기를 해야하기 때문에 이 점이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시장 규모를 계산하느라 며칠~몇 주를 허비하는 대표님들이 많습니다. 시장 규모를 정확하게 계산할수록 시장 규모가 생각보다 크지 않아서 고민하는 경우도 많죠.

핵심은 ‘얼마나 정확하게 추산해내는가’가 절대 아닙니다.

처음에 유효 시장, 수익 시장에서 사업을 시작해서 보다 큰 시장으로 진출하겠다는 논리의 흐름이 ‘얼마나 말이 되는가’, 그리고 ‘실제로 가능해보이는가’를 설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시장 규모를 설득하는 장표가 IR 덱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지만, 숫자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너무 많은 시간을 쓰지 않고 논리 구성을 더 말이 되게 하는 게 중요합니다.


2. BM의 타당성 (수익 모델의 합리성, 정합성)

숫자의 중요성은 시장 규모 장표보다 우리의 BM에 대한 장표에서 더 중요합니다.

큰 틀에서의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그리고 실제 수익 모델(revenue model)이 얼마나 실현 가능한지, 경쟁사와 차별점은 무엇이며 알파테스트 및 베타테스트 결과는 어떠한지, 초기 반응은 어떠한지 등을 숫자에 근거하여 설득해야 합니다.

최근 들어 스타트업 투자 혹한기가 이어지면서 VC들도 ‘숫자’를 더 많이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객단가의 수익성, 스케일업 가능성뿐 아니라 유닛 이코노믹스(단위별 수익성)까지 볼 정도로 수익 모델에 대한 심사가 꼼꼼해졌죠.

전체 트래픽이나 전환율뿐 아니라, 고객 획득 비용(CAC), 고객 생애 가치(LTV) 등등 다각적인 관점에서의 데이터 분석을 통한 수익성 및 성장 가능성을 입증해야 하는 시기가 되었습니다.


3. 팀 (창업자와 멤버들의 전문성 및 역량)

앞서 숫자에 기반한 장표들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지만, 얼리 스테이지 투자에서 VC들이 가장 많이 보는 것은 사실 ‘창업자와 팀의 스펙’입니다.

스펙이라고 해서 학벌, 경력을 보는 것은 아닙니다.

VC들이 많이 보는 것은 ‘이 창업자가 이 아이템을 한다는 게 말이 되는가’, ‘이 팀이 이 아이템을 실제로 구현할 역량이 있는가’입니다.

아무런 전문성이나 기존 경력 없이, 그저 조사와 구상에 의거한 아이템으로 시장에 도전해보겠다고 하면, VC들은 우려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겠다는 아이템에 대해 창업자가 기존의 경력이나 전문성이 없으면, 관련 경력을 보유한 팀원이라도 있어야 합니다.

IT 제품을 만들겠다고 한다면 당연히 개발자가 있어야 합니다. 외주로 개발하겠다고 한다면 초기 투자금을 넣을 VC는 없습니다.


VC들이 초기 투자에서 가장 많이 보는 요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 이 창업자가 이 사업을 할 만한 배경과 전문성이 있는가?

✔︎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개발 역량이 있는가?

✔︎ 리더십과 기업가 정신이 있어 보이는가?


이를 입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요소가 ‘Team’ 장표에 들어가면 좋습니다.

✅ 창업자 및 핵심 팀원의 관련 경력

✅ 팀 단체 사진 (팀워크에 대한 신뢰도 증가 효과)

✅ 지금까지의 실행력과 성과


2025 스타트업 투자 유치 꿀팁 : 초기 고객이 ‘팬덤’이 되었다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최근 VC들이 특히 주목하는 것은 초기에 ‘팬덤’이 형성되는가입니다.

“제발 이 아이템을 계속해주세요!”, “사업을 접지 말아주세요!”, “이런 제품을 만들어주셔서 너무 감사해요!”

이런 얘기를 듣고 있다고 보여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장표 하나로 이 아이템이 타겟하는 페인포인트가 뾰족하다는 사실부터 제품의 입소문 마케팅 가능성, 그리고 제품-시장 정합성(Product-Market Fit, PMF)을 달성할 가능이 높다는 전망까지 한 번에 보여줄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여주면 좋을까요?

✅ 고객 인터뷰 영상(가장 강력한 시각적 요소), 또는 텍스트 후기

✅ "이 제품 없으면 안 된다"는 고객 후기 사례

✅ 고객 만족도 지표 (NPS, Retention Rate)



IR덱 피치덱 투자제안서 스타트업 투자 유치


AI 활용해 IR 덱 작성 시간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법

초기 투자 유치 준비하는 대표님들을 위한 문서 AI 추천

앞서 강조하였듯, VC들은 투자를 검토할 때 IR 덱의 디자인을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내용과 데이터입니다. 따라서, 대표님들께서는 피치 덱을 제작하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이 들지 않도록 리소스를 절감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생성형 AI의 발달로 입력 몇 번으로 투자제안서를 완성하도록 돕는 AI도 많아졌습니다.

아래 AI 도구들을 활용하시면, 며칠 만에 완성도 있는 IR 덱을 완성하실 수 있습니다.


1. 인라인AI - 스타트업 문서 작성의 올인원 솔루션 ⭐⭐⭐⭐⭐

피치덱 ir덱 사업계획서 인라인ai

인라인 AI는 쉽게 말해 MS 워드나 한컴에 클로드(Claude)가 탑재되어 있는 고성능 문서 제작 AI입니다.

정부지원사업 계획서나 VC 투자제안서가 특정 양식을 요구하는 경우, 양식에 맞게 문서 작업을 하면서 동시에 AI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ChatGPT나 Claude처럼 문서를 첨부하면서 참고 자료로 활용해 AI를 사용할 수 있는데, 특별한 점은 한글 파일(hwp)까지 자유자재로 첨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몇 개월 전에 정부지원사업에 제출했던 hwp 파일 사업계획서를 첨부한 다음, IR 덱 장표를 구성해달라고 할 수 있죠.

초기창업패키지 사업계획서를 첨부한 다음, 글로벌 VC 미팅용 영어 문서로 내용을 바꿔달라고 요청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인라인 AI 핵심 기능:

  • 기존 사업 자료 업로드 → 자동 피치덱 생성

  • 한글 문서 완벽 인식, AI 활용 및 영어 번역 가능

  • 로컬 기반 보안 환경으로 민감한 사업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


실제 활용 예시:

"기존에 작성해둔 한글 사업계획서와 재무 자료를 업로드했더니, 30분 만에 VC 미팅용 피치덱이 완성되었습니다.
특히 우리 SaaS 비즈니스 모델에 맞는 성장 플랜과 예상되는 MRR, ARR 추정치를 자동으로 구성해준 점이 인상적이었어요.
예상 MRR, ARR 5개년 자료를 바로 표로 만들어주더군요."

- 시리즈A 투자 유치한 핀테크 스타트업 대표



2. Gamma - 디자인 중심의 빠른 피치덱 생성기 ⭐⭐⭐⭐

감마 gamma ai IR덱 피치덱 투자제안서 스타트업 투자 유치

감마(GAMMA.app)는 PPT 슬라이드 또는 웹사이트를 빠르게 생성할 수 있는 AI 도구로 인지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젠스파크(Genspark)와 함께 PPT 제작 AI의 쌍두마차로 주목받고 있죠.

감마(GAMMA.app) 핵심 기능:

  • 간단한 텍스트 입력으로 슬라이드 자동 생성

  • AI 기반 디자인 템플릿 적용

  • 웹 기반 실시간 편집 가능

그러나 인라인 AI처럼 ‘두뇌’ 역할을 해주지는 않습니다.

입력한 내용을 그럴싸하게 PPT 장표로 디자인해줄 뿐, 들어가는 내용을 디벨롭해주는 성능은 약합니다.

따라서 장표 구성 아이디어는 우선 인라인AI와 함께 주고받은 다음, 디자인만 감마에게 맡기는 식으로 두 AI를 함께 활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2026년 투자 유치 라운드 준비, 지금부터 시작하세요

2026년은 스타트업 투자 시장이 예년보다는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그만큼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스타트업들의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죠.

인라인AI 같은 스타트업 경영에 특화된 도구를 활용하면, VC들의 시선을 끌어당기는 투자제안 IR 덱, 피치덱을 완성하는 데 유리해집니다.


이렇게 시작해보세요.

  1. 기존 사업 자료 인라인AI에 입력 (로컬 기반 RAG 시스템 보안으로 외부 유출 및 AI 학습 되지 않음)

  2. 인라인AI와 함께 피치덱 구성안 제작

  3. 타겟 VC 리스트 작성 및 포트폴리오 분석

  4. 인라인AI에게 타겟 VC별 맞춤형 제작 요청

  5. 인라인AI로 GAMMA용 프롬프트 뽑은 다음, 감마로 장표 디자인


투자유치는 마라톤입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해서, 원하는 조건으로 투자받으실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IR덱 피치덱 투자제안서 스타트업 투자 유치


💡 인라인AI 무료 체험하기

스타트업 투자 자료 전문 AI, 인라인AI로 지금 바로 피치덱 제작을 시작해보세요.

한글 사업계획서만 있어도 글로벌 수준의 영문 피치덱이 30분 만에 완성됩니다.


👉🏻 지금 바로 무료 체험으로 확인해보세요.

무료 체험으로 직접 경험해 보시고,
투자 미팅 준비에 드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세요.


성공적인 투자 유치를 향한 여정,

Inline AI가 든든한 파트너가 되어 드리겠습니다.


📝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 피치덱 쓰느라 밤새는 대표님을 위해 - AI로 하루만에 완성하는 방법 총정리

✅ 사업계획서, 투자제안서, 입찰제안서 빨리 쓰는 법 총정리 - 문서 작성 AI 100% 활용법


©

2025년

주식회사 엘리먼츠

대표이사: 이상연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 117

|

대표번호: 070-4138-4000

사업자등록번호: 182-88-02666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3-서울관악-1966

Copyright 2025 주식회사 엘리먼츠 All Rights Reserved.

©

2025년

주식회사 엘리먼츠

대표이사: 이상연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 117

|

대표번호: 070-4138-4000

사업자등록번호: 182-88-02666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3-서울관악-1966

Copyright 2025 주식회사 엘리먼츠 All Rights Reserved.

©

2025년

주식회사 엘리먼츠

대표이사: 이상연

|

대표번호: 070-4138-4000

사업자등록번호: 182-88-02666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3-서울관악-1966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 117

Copyright 2025 주식회사 엘리먼츠 All Rights Reserved.